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WWDC
- modern concurrency deep dive
- APNS
- 티스토리챌린지
- 오블완
- SWIFT
- ios
- modern concurrency
- 야곰 # 야곰아카데미커리어스타터캠프 #iOS개발자 # 부트캠프
- Today
- Total
목록Linux (5)
Geon
간혹 서버에 통신이 안될떄 tcpdump로 패킷의 흐름을 파악 tcpdump -envv -i eth0 host x.x.x.x and port 22
리눅스가 긴급 상황(그리고 단편화를 방지하기 위해)을 위해 예약 블록(reserved block)이라고 하는 파일 시스템의 여러 블록을 따로 떼어 놓는다는 것이다. 루트 사용자만이 그러한 예비 블록에 쓸 수 있기 때문에 파일 시스템이 가득 찼더라도 루트 사용자는 여전히 로그인하고 일부 파일을 옮길 수 있는 약간의 여유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. ext 기반의 파일 시스템이 탑재된 대부분의 서버에서는 총 블록의 5%가 예약돼 있고, 루트 권한을 가지고 있다면 tune2fs 도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. /dev/sda1 파티션의 예약 블록 수를 확인하는 방법이다. $ sudo tune2fs -l /dev/sda1 | grep -i “block count” Block count: 2073344 Reserved ..
간혹 read-only 상태인 파일을 저장할 상황이 생긴다. 이럴떄 보통 wq! 로 해결되나,예외사항 발생.. ==해결 방법== # chattr -i 파일명 -->read only 파일 해제 # chattr +i 파일명 -->read only 파일 설정
Taging이란? - 서로 다른 스위치에서 동일 VLAN을 사용할때 사용된다. - 스위치와 서버간 태깅시 둘다 vlan 이 생성되어 있어야 통신이 가능 * 서버 vlan 생성시 == 리붓해도 적용 == 1.인터페이스 생성 1.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0.101 2. 하단에 vlan 내용추가 VLAN=yes == 리붓시 초기화되는 설정== 1.vlan 태깅시 관련 모듈이 필요하다. # modprobe 8021q 2.vconfig 명령어로 101번 vlan 생성 # /sbin/vconfig add eth0 101 2-1) vlan 삭제 # /sbin/vconfig rem eth0.101 3. vlan 정보확인 # cat/proc/net/vlan/config 4..
#!/usr/bin/sh mac1=`ifconfig eth0 |grep ether |awk '{print $2}'` mac2=`ifconfig eth1 |grep ether |awk '{print $2}'` echo $mac1 echo $mac2 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 mac change 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 sed -i "6s/.*/GRUB_CMDLINE_LINUX=\"crashkernel=auto rhgb quiet net.ifnames=0 biosdevname=0 ipv6.disable=1 ifname=ether0:$mac2 ifname=ether1:$mac1\"/g" /etc/default/grub File=/etc/udev/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