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SWIFT
- 오블완
- APNS
- ios
- 야곰 # 야곰아카데미커리어스타터캠프 #iOS개발자 # 부트캠프
- WWDC
- 티스토리챌린지
- modern concurrency
- modern concurrency deep dive
Archives
- Today
- Total
Geon
Trunk 포트(Tagged 포트)? 본문
Taging이란?
- 서로 다른 스위치에서 동일 VLAN을 사용할때 사용된다.
- 스위치와 서버간 태깅시 둘다 vlan 이 생성되어 있어야 통신이 가능
* 서버 vlan 생성시
== 리붓해도 적용 ==
1.인터페이스 생성
1.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0.101
2. 하단에 vlan 내용추가
VLAN=yes
== 리붓시 초기화되는 설정==
1.vlan 태깅시 관련 모듈이 필요하다.
# modprobe 8021q
2.vconfig 명령어로 101번 vlan 생성
# /sbin/vconfig add eth0 101
2-1) vlan 삭제
# /sbin/vconfig rem eth0.101
3. vlan 정보확인
# cat/proc/net/vlan/config
4. ip 정보 입력 및 default gateway 할당
# /sbin/ifconfig /eth0.101 192.168.0.10 netmask 255.255.255.128 up
# /sbin/ip route add default gw 192.168.0.1 eth0.101
* 두방법 모두 eth0과 eth0.101 에 ip는 중복되서는 안됨.
* /etc/rc.local 에 해당 내용적어놓으면 리붓해도 초기화 되지않는다.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패킷 모니터링(tcpdump) (0) | 2021.01.19 |
---|---|
디스크 예약 블록 (0) | 2021.01.19 |
read-only (0) | 2021.01.19 |
리눅스 mac 순서 변경 (0) | 2020.12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