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modern concurrency deep dive
- 티스토리챌린지
- ios
- 야곰 # 야곰아카데미커리어스타터캠프 #iOS개발자 # 부트캠프
- APNS
- SWIFT
- 오블완
- WWDC
- modern concurrency
Archives
- Today
- Total
Geon
Swift의 접근 제어자(Access Control)에 대해 설명해주세요. 본문
iOS developer essential skills
Swift의 접근 제어자(Access Control)에 대해 설명해주세요.
jgkim1008 2024. 6. 27. 23:09접근 제어자란 무엇인가요?
- 다른 소스 파일 및 모듈의 코드에서 코드 일부에 대한 엑세스를 허용 또는 제한 하는것
- 모듈: 하나의 프레임워크 (ex: import UIKit)
open | public | internal | fileprivate | private |
- 참조 타입만 가능 | - 값 타입일 경우 public이 최상단 - 내부 변수에 따로 접근제어를 설정하지 않으면 internal |
- 기본값 | - 파일 내 접근만 가능 | - 컨텍스트 내부에만 접근 가능 - 단일 선언 내에서만 사용 가능 |
open과 public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?
- public의 경우 모듈 내부에서는 상속, 재정의가 가능하지만 외부 모듈에서는 상속, 재정의가 되지 않는다.
- 반면 open의 경우 모듈 외부에서도 상속, 재정의가 가능하다.
접근 제어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?
- 규모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보면 객체를 사용하는 입장에서 객체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변수나 메서드에 접근함으로써 개발자가 의도하지 못한 오동작을 일으키게 될 수다.
- 이런 문제로부터 객체의 로직을 보호하기 위해서 적절한 접근 제어자를 통해 외부의 접근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필요가 있다.
- 외부로 부터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서
- 코드의 명확성
- 은닉화를 하기 위하여
참고링크:
https://docs.swift.org/swift-book/documentation/the-swift-programming-language/accesscontrol/
'iOS developer essential skill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OS에서 델리게이트 패턴(Delegate Pattern)은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나요? (0) | 2024.07.26 |
---|---|
Swift의 Property Wrapper에 대해 설명해주세요. (0) | 2024.07.09 |
iOS 앱에서 로컬 푸시 알림(Local Push Notification)을 구현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? (0) | 2024.06.24 |
iOS 앱에서 Core Bluetooth를 사용하여 BLE(Bluetooth Low Energy) 통신을 구현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(0) | 2024.06.17 |
iOS 앱의 생명주기(App Life Cycle)에 대해 설명해주세요. (0) | 2024.04.13 |